구불구불 산복도로에 예술의 꽃이 활짝

부산 동구 초량동 망양로 일대 오픈스페이스 배 프로젝트 완료

꽃·풍선 벽화, 곳곳에 조형물… 26곳엔 사운드 포인트 표시

"도시재생 중요한 대안 부상"

2010-05-02

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도로 망양로 일대. 부산항을 내려다보고 있는 부산의 대표적인 산복도로이다. 가파른 옹벽과 계단, 다닥다닥 붙은 재래식 주택, 좁고 구불구불한 도로는 삭막한 산복도로의 전형적인 풍경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곳곳에 예술의 꽃이 피어있다. 초량화신아파트 옆에 있는 25도 경사의 가파른 계단. 꽃그림이 예쁘다는 생각을 하면서 내려가다가 위를 다시 올려다보면 하늘로 풍선이 두둥실 떠가는 그림이 나타난다. 101개나 되는 계단에 일일이 작업한 심점환 작가의 작품이다. 바로 옆 마마맨션 진입로에는 2층짜리 윈도우갤러리가 있다. 경비초소로 사용되던 건물을 개조했다. 4~5㎡ 남짓 좁은 공간에 변대용 작가의 조형물 '두루미-갈증이 나다'가 전시되고 있다. 의인화된 두루미가 버려진 폐트병과 고무통 사이를 걷고 있는 모습이다. 갤러리는 오후 6시부터 밤 11시30분까지 자동센서로 불을 밝혀 산복도로를 환히 비춘다. 주민 박해근(72) 씨는 "마을 어귀를 이리 꾸며놓으니 참 좋다"며 입가에 미소가 번졌다.

부산의 대표적인 대안공간 가운데 한 곳인 오픈 스페이스 배의 '산복도로 1번지-도시에는 골목길이 있다' 프로젝트가 완료됐다. 지난해 10월 부산시 공모사업에 뽑혀 작업을 시작한지 7개월 만이다. 이 사업은 동구 초량동과 수정동의 망양로 일대에 벽화 조각 등 예술작품을 심어 산복도로를 아름다운 삶의 공간으로 승화시키는 공공미술프로젝트. 총 2억 원이 투입됐으며 전업작가와 미대(부산대 동의대) 학생을 포함해 작가만 40여 명이 동원됐다. 일본의 가와사키 요시히로 도쿄예술대학 교수(사운드 예술)와 독일의 그레고리 마스(조형)처럼 외국 작가도 참여했다.

과연 망양로 1.5㎞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부산컴퓨터과학고 음악관과 미술관, 스카이빌라 물탱크에는 청년들이 건물 사이를 뛰어다닌다. 구현주 작가의 야마카시 그래피티이다. 야마카시는 아프리카 링갈라어로 맨몸으로 도시 건물이나 벽을 오르거나 뛰어넘는 행동. 높낮이가 다르고 겹겹이 쌓여있는 산복도로의 건물과 주택의 공간적 특징이 잘 매치된 작품이다. 마마맨션 버스정류장 부근에는 조각갤러리가 생겼다. 이재효 작가의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다양하게 구부러진 철근이 뭉쳐 나무로 단단하게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공중전화박스에서는 국제시장 자갈치 등에서 수집한 부산의 소리가 흘러나온다. 특징적인 소리가 포착되는 지점 26곳에는 사운드 포인트도 표시됐다. 이 일대 120가구의 번지표는 예쁘게 바뀌었다. 이 과정은 모두 산복여지도 한 장에 요약된다.

물론 찬성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조각갤러리의 조형물을 보고는 "뭐냐 시꺼멓게"라는 불만이 쏟아지는가 하면, 벽화그림에 대해서도 "안 그래도 우울한 동네에 사람들의 표정이 너무 어둡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자신들만의 생활공간에 외부인의 침입을 마을 사람들이 쉽게 허락하지 않았다. 그때마다 팀원들은 주민설명회를 열고 통반장을 만나 설득하고 이해를 구했다. 부산항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전망대를 설치하려고 하자 사생활 침해라며 주민들이 반발해 결국 이 작업은 포기했다. 이수진 인문학팀장은 "환영과 거부, 다양한 반응이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라며 "예술가 행정가 현지주민이 모두 인식을 높이고 교감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픈 스페이스 배는 지난달 30일 동구 초량동 일동빌라 하늘주차장에서 시청 구청 문화예술 관계자는 물론, 프로젝트 진행에 도움을 준 KT링커스 등 기업 관계자가 모두 모인 자리에서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작업을 총괄한 서상호 예술감독은 "공공미술은 처음에 환경미화나 장식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출발했지만 이제는 도시재생의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다"면서 "2~3년 후에는 문화 교육 인문학적인 요소를 잘 배합한 진정한 의미의 공공미술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에서 공공미술프로젝트가 실시된 곳은 ▷동구 수정동(오픈 스페이스 배·2006) ▷동구 범일동 안창마을(오픈 스페이스 배·2007~2009) ▷사하구 감천동(아트팩토리인 다대포·2009)에 이어 네 번째이다.
ⓒ국제신문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00503.22019203544

 

The Great Kitchen at the Royal Pavilion, Brighton

 https://www.houseandgarden.co.uk/article/ten-most-beautiful-rooms-in-britain


《미래저편에 : 대전 1993/2023》의 연계프로그램




대전시립미술관 세계유명미술특별전 《미래저편에 : 대전 1993/2023》의 연계프로그램

- 1월 30일 화요일 : 《레트로 '86-'88 : 한국 다원주의 미술의 시원》 - 양정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2월 8일 목요일 : 《전시의 전시의 전시》 - 김유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SeMA 전시 아카이브 1988-2016: 읽기 쓰기 말하기》,전시미분사#1 《당신은 나의 태양》 - 박가희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미래저편에 : 대전 1993/2023》 -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https://www.instagram.com/daejeon_museumofart/p/C2gLnTYveIC/?img_index=3

Loki by Sujin

 


Jan. 2024

Seojong

Golden Peanuts



1997

Hong Kong 

공주 Gongju

 

Fall 1984

Photo by 유재천

Interview by S and G

S: You have lived and worked in Hagen, Seoul, Paris, Maastricht, and a number of other cities and artists' residencies. Do you think that makes you global artists? 
Is the term meaningful?

G: Nayoungim and me feel a mixture between excecutive delegated managers of an international corporation yetting around the globe mixed with chinese travelling working in his bunk.

S: Do you think of contemporary art as another mass medium, neighbor to TV, internet, cinema, radio?
If you could choose your own neighbors from these media, who would you pick?

Is mimesis, or imitation, an important concept for you? (Imitation, as
in: "art imitates nature", the classical idea that imitation is crucial
for artmaking.) If it is, what are your models?
(My own idea here being, that mimesis and anti-mimesis somehow shape our
experience, combined in a field of tangible and abstract models -
naturalistic and formalistic zones, combined like the black and white on
a chessboard; or like the dark and the lighted windows in a huge
high-rise appartment building. I know this formulation is still very
intuitive, I will have to work on it to express it in a more meaningful
way.)

Do you hope that your work somehow relates the celebration of life as it
is to a sense of queasiness, or unease? (To coin a slogan: is it about
"The gloriousness of mayonnaise"?)

Do you have a favourite material?

Which things do you avoid in your art?

How do you decide when a work is finished?

G: Metabolism of the human being, living cell, Abfallprodukte.
The human being has a metabolism with is producing shit.
Let´s try to imagine a living thing without a metabolism the human being would possibly not be creative at all.
Working in art is like shitting so to say, there are these pieces coming out and it stops steered by peristaltic.

S: Do you feel that your work has a central theme to which you return time and again?
Entertainment, No, Tautology, Sex, Success, Beauty.

Please discard any questions you find dull, flat, overworked, and so on.
You are also welcome to treat any passage from my "Warped Flow Gadget"
text as a question to be commented upon...

G: So let´s talk about how I feel like a brain surgeon trapped in the body of an artist.
Even though it is absolutely desolate down here except for the occasional shrimp or anemone who´s strayed from his hydrothermal vent, I am really enjoying tooling around in the submersible. I know you are not crazy about me taking you to the Mariana Trench, some 320 kilometers southeast of Guam. But it is the only way I thought I´d be able to get enough peace and quiet and enough distance from the whole art scene to be able to complete the next shows I´m under contract for. The place is pretty swanky considering that it has to withstand about 16,000 pounds per square inch.
....

Absolute entertainment:

It is, of course, much less difficult to arouse genuine anger, indignation, and outrage in people than it is to induce joy, satisfaction, fellow feeling, &c. The latter are fragile and complex, and what excites them varies a great deal from person to person, whereas anger et al. are more primal, universal, and easy to stimulate (as implied by expressions like "He really pushed my buttons"). Filmed Autopsies and cholesterol-concious cooking shows on finally arrived HDTV are so violently unpleasing to look at that the viewer doesn´t bother to expend the thumb muscle energy to required to zap or surf away from anything on the screen. ...

S: You stepped down from studying philosophy at the Sorbonne IV in Paris after only 2 years and then stepped down from your elaborate computer simulation of machines build with frozen DNA cubes only after eight months. 
Do you think that it exhibits an immature restlessness and inability to honor long-term commitments or do you think that it exhibits a wonderful kind of boundless, nomadic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at can´t and shouldn´t be constrained by a single vocation?

G:"The latter."


THE HOUSE OF KIMCHI

S: Are you interested in Metaphysics? and do you believe in Near-death accounts?

G: I recently had this incredible experience of floating above the bed in an IC unit in a hospital in Daytona Beach, Florida, I was about to be declared legally deceased, and I have this incredible experience of floating above the bed and being imersed in what I describe as a "sitz bath of radiant white light," and then I felt myself being thrown into the trunk of a car with diplomatic plates, but the trunk is suffused with this warm effulgence that makes me feel more at peace than I have ever felt before, and soon I was at this whitewashed ivy-draped villa where I was given a polygraph test ...- and then I hear this seraphic voice which says: "Go to the House of Kimchi," so I go to the House of Kimchi, which is this very opulent edifice, sort of like Versailles except that it´s completely constructed out of kimchi, those very pungent Korean pickles, and when I arrive there´s tremendous commotion going on and I see this woman sprawled out on the lawn in her bra and jeans. So I rush back into the House of Kimchi and begin to inhale air freshener, which is like this beautiful aerosol iridescence, and I describe it as "inhaling the sparkling light until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radiance of the air freshener and myself - we were one."
Isn´t that incredible?

S: Indeed!

The people’s medicine by Abbott Labs

 















https://www.facebook.com/photo/?fbid=853497839736001&set=pcb.853498163069302&locale=fr_FR

In the 1950s, Abbott Labs created these incredible (some would say horrifying) advertisements for their vitamin product, Dayalets. They were designed to be hung in doctors’ offices and inspire patients to take Dayalets, also known as “the people’s medicine.”
.

연로한 직책의 결합 Aged Hats Link, 2023



installation in progress


Opening of the Show
photo by Ingo Baumgarten
Nov. 2023


30년 만의 소환 '미래저편에, 대전 1993·2023' 특별전
  •  2023.10.24 

대전시립미술관 내달 7일부터 '2023 세계유명미술특별전'
1993 대전엑스포 당시 출품작과 재제작 작품 선보여
"동시대 미술과 미술관의 기능 폭넓게 이해하는 기회 될 것"
내달 6일 자정까지 사전예약 3000명 관람료 2000원 할인

▲ 시립미술관 작품 Jean Tinguely_004_photo Igor Antic
▲ 시립미술관 작품 Jean Tinguely_004_photo Igor Antic

대전시립미술관(관장 최우경)이 2023 세계유명미술특별전 '미래저편에 대전 1993·2023'을 11월 7일부터 2024년 2월 25일까지 개최한다. 세계유명미술특별전은 격년제로 개최되는 국제전으로 급변하는 국내·외 현대미술 지형에 새로운 담론을 제시하고 시대적 가치를 담아낸다.

세계 현대미술의 중심에서 대전의 문화예술 브랜드 가치 향상과 입지 확장에도 기여해오고 있다.  올해는 대전엑스포 30주년,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을 맞아 대전의 정체성을 견인하고 문화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독자적 문화콘텐츠에 집중했다.

'미래저편에 대전 1993·2023'은 1993 대전엑스포 개최기념전 '미래저편에'의 30년 만의 복원, 재연전시로 도시 대전의 국제성 발신과 동시대 어젠다 선도에 의의를 둔다. 

'미래저편에'는 프랑스 퐁피두센터의 초대 관장이자 전설적인 큐레이터였던 폰투스 훌텐(Pontus Hulten, 1924-2006)과 재불화가이자 서울미술관장 임세택(林世澤, 1942~)이 공동 기획해 엑스포 미래테마파크(지금의 한빛탑 일대)에서 개최된 야외 전시였다.  당시 니키 드 생팔, 샤르키스, 레베카 호른, 다니엘 뷔렌, 김기창, 박서보, 백남준 등 세계적인 현대미술가 35명이 참여했다. 

▲ 시립미술관 작품 Taejon_the exhibition site_004_Photo Igor Antic
▲ 시립미술관 작품 Taejon_the exhibition site_004_Photo Igor Antic

이번 전시는 국내 미술 지형이 서울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1990년대 당시에 지방 도시인 대전에서 국제적 명성의 예술감독(폰투스 훌텐 Pontus Hulten)이 기획한 전시였다는 역사성에도 불구하고 '미래저편에'에 대한 미술사(史)적 기록과 연구가 전무한 것에 주목하고 그 본연의 실체를 밝힘으로써 전시라는 매체에 대한 성찰을 이어갈 예정이다. 

참여 작가, 작품의 소재, 자료조사, 작품복원과 재제작 등에만 약 1년이 소요된 이번 전시는 1993 대전엑스포 당시 출품작과 재제작 작품을 선보이며, 소재 파악이 불가능한 작품들을 대신하는 아카이브 등으로 구성된다. 

1993 대전엑스포 이후 작품 일부가 손실됐던 레베카 호른(Rebecca Horn, 1944~)의 '한국의 경치 그리기' 1993년 作과 톰 섀넌(Tom Shannon, 1947~)의 '광선구' 1993년 作 등이 30년 만에 복원된다. 또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Phalle, 1930~2002)이 당시 출품했던 드로잉 두 점과 더불어 당시 조각의 드로잉으로 추정되는 한 점을 국내 최초로 만나 볼 수 있다.  1993년도 현장 이미지들과 백남준의 자필 메모, 전시장 설계도면, 폰투스 훌텐의 편지 등도 관람할 수 있다.

아울러 이번 전시에서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과의 협력특별전 '미래저편에, 클라우드 메신저'도 동시 개최한다.  이른바 폰투스 홀텐의 키즈였던 김나영 그레고리마스, 잉고 바움가르텐을 비롯해 장종완, 이인강, 오덧아(),(:), 셰일리시 BR의 작업을 통해 인간과 환경, 기술을 포함한 사회 전환기의 예술 환경 변화를 아우르며 예술적 실행이 유추하는 미래 삶의 가능성을 살핀다.

대전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콘텐츠도 눈길을 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과 협업해 개발한 모바일 게임은 원전인 미술품 감상을 넘어 2차 창작물에 대한 위키 제공을 꾀한다.

망각의 저주에 걸려 괴물이 된 미술품을 구출한다는 스토리로 11월 전시 개막과 함께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내려받아 즐길 수 있다.

전시를 진행한 대전시립미술관 우리원 학예사는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작품의 감상이 아니라 '전시'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그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동시대 미술과 미술관의 기능을 폭넓게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3 세계유명미술특별전은 24일 자정부터 11월 6일 자정까지 2주간 네이버로 사전 예약을 받는다. 사전예약자 3000명은 관람료 2000원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후에는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관람할 수 있으며, 특별전시 요금이 적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미술관 홈페이지(www.daejeon.go.kr/dma)를 참고하면 된다. /대전=이한영기자


30년 전 대전엑스포 ‘그 전시’ 재연…박서보·레베카 호른 등 작품

‘미래저편에: 대전 1003/2023’ 개최
1993년 세계적 현대미술가 35명 참여
“작품 감상 넘어 전시란 매체 자체 성찰”

1993년 대전엑스포 개최 당시 세계적인 현대미술가들이 참여해 열린 전시가 30년 만에 재연된다.

대전시립미술관은 2023년 세계유명미술특별전으로 ‘미래저편에: 대전 1003/2023’(‘미래저편에’) 전시를 오는 11월7일부터 다음 해 2월25일까지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세계유명미술특별전은 격년제로 개최되는 국제전으로 급변하는 국내·외 현대미술 지형에 새 담론을 제시하고 시대적 가치를 담아내고 있다. 올해는 대전엑스포 30주년을 맞아 1993년 전시된 ‘미래저편에’를 재연하게 됐다.

1993년 8월 대전엑스포 미래테마파크에서 열린 ‘미래저편에’는 프랑스 퐁피두센터의 초대 관장이자 전설적인 큐레이터였던 폰투스 훌텐(Pontus Hulten)과 재불 화가이자 당시 서울미술관장이던 임세택씨가 공동기획한 야외전시였다. 주로 조각과 설치미술작품이 전시됐다. 전시에는 니키 드 생팔, 샤르키스, 레베카 호른, 다니엘 뷔렌, 김기창, 박서보, 백남준 등 세계적인 현대미술가 35명이 참여했다.

올해 재연하는 전시에는 1993년 당시 작품과 그 모양대로 다시 제작한 작품을 선보이고, 소재 파악이 어려운 작품의 경우 사진 등 기록을 전시한다. 대전엑스포 이후 작품 일부가 손실됐던 레베카 호른의 ‘한국의 경치 그리기’와 톰 새넌의 ‘광선구’ 등이 이번에 원형 복원됐고, 1993년 현장 사진과 백남준의 자필 메모, 전시장 설계도면, 폰투스 훌텐의 편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사는 “‘미래저편에’에 대한 미술사적 기록과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그 실체를 밝혀 전시라는 매체 자체를 성찰하고자 했다”며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작품 감상이 아니라 ‘전시’의 의미와 목적, 그 과정으로 경험하며 동시대 미술과 미술관의 기능을 폭넓게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계레 신문 최예린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chungcheong/1113374.html

연로한 직책의 결합 Aged Hats Link, 2023_ work in progress








Oct. 2023

Seojong





2023 세계유명미술특별전 《미래저편에 : 대전 1993/2023》
Future Lies Ahead : Daejeon 1993/2023

미래저편에: 클라우드 메신저


https://artlecture.com/project/10693

Crystal Man


Sep. 1995

Paris

이주하는 서체 Secondtype 2018-

  https://hyejinjo.wixsite.com/secondtype

<이주하는 서체>는 2018년에 시작해 지속적으로 진행된 조혜진 작가의 작업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이주민 참여자들의 손글씨를 모아 서체를 만드는 프로젝트입니다.

 

54명의 참여로 완성된 글자는 한글 598자와 숫자 및 기호 22자로 구성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