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클라우디아 페스타나 Claudia Pestana
The Ground
This text was originally intended as a means of addressing the work of Gregory Maass and Nayoungim. Instead it developed its own desires and now begins as a cryptic exchange departing from the following fragment: 'the time this has taken is beyond excusable.'
Seemingly an apology for the failure to deliver something in a timely manner, or even a potential default on a promised course of action, this statement is directed at an unspecified reader, someone that may be an actual person or a purely fictional entity. And, this shall be left at that, without any forthcoming explanation.
Questions can, however, be asked: what might such a fragment imply if the mentioned failure were to apply to the text in question? Might there be meaning behind such an inexcusable delay?
This uncharacteristically veiled start is indicative of a stalling mechanism, of ultimately embracing delay as resistance, a resistance to presuming that a given expertise or insider knowledge affords the ability to fully understand something and to be able to explain it away or so in depth it has been explained to death.
Counter to this explanatory tendency, the intention will be to uphold this resistance, propose the chronicle of a struggle, preserve private jokes, and resist with 'two feet firmly placed in the ground' the comfort of easy familiarity.
This vehement regard for opacity is not intended as an exclusivist denial of access but as an invitation to appreciate the opportunity that being confronted by a presentation of Gregory Maass and Nayoungim's practice offers to be able to stand one's own ground.
Each installation, each agglomeration of objects with their multiple references opens up worlds of materialities, visual memories, techniques and translations.
Presuming to present this in a coherent text feels restrictive and counter to the experience of dealing with the paradoxical situation of recognising, possibly even being well acquainted with, the different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whole, and yet, not being able to determine what they have become by being articulated together.
This state of slippage in meaning, almost like having a dictionary but wanting to look up definitions instead of words, allows an interlocutor to meet the challenge of constructing and extrapolating from uncertainty.
Over the course of far more months than should be confessed, an intermittent exchange was carried out, an attempt to bridge geographical and communicational distance that resulted in a collection of detours, distractions and alternative perspectives that in their exuberance and openness coalesced into the opposite of a route but which, after much rumination, indicated a miniscule, barely visible, portal into another dimension of experience. Fragments from the intermittent exchange precede what a 'bulging eyeball' was later able to perceive by peering into a formidable universe emerging just beyond its grasp...
Uncertainty extrapolated - Salons for the Conceptually Displaced?
"Gregory and Nayoung, I'm struggling with this text.
I keep loosing my footage and slipping, feeling unable to ground myself in these references I was hoping to explore: reading Philip K. Dick's Do Androids Dream of Electronic Sheep? and imagining the possibility of looking at the notion of 'Kipple' and some of the descriptions of landscapes where any object has been rendered meaningless by neglect.
A selection of quotes felt promising.
The idea was to think of the types of places that question what we think about how things are, what they mean, and how they work.
This could perhaps apply to your installations but also to how you keep finding new contexts for the KK Gallery to operate in.
Following on, another quote in Dick's book led me to think it might be relevant to explore some of the descriptions of how objects can exist as art, or not, in Arthur C. Danto's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However, Danto's title, including his anecdote about how he came up with it, was also in the back of my mind.
The next quote from Do Androids Dream of Electronic Sheep? raised the issue of not only people, but also things having no recollections or perceptions.
This made me look at your installations not as something that we as viewers understand but rather as platforms for different agglomerations of materials, techniques and references to be redefined. From a conversation with Gregory, the idea of a 'Salon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conceptually displaced' emerged as a play on Danto's title but also on the perspective that, within different contexts, concepts and objects lose their ability to signify something identifiable.
What might this place where dead objects perceive nothing, this 'salon' for convalescing concepts, be?
Where might concepts that coalesce from disparate sources, or that have been displaced or misunderstood go to 'rehab'?
What might their 'rehabilitation' entail if they have arrived in a state where all their categories are jumbled up? And finally, what if neither the concepts nor the objects have to re-think themselves, what if that task should be up to those who come into contact with them?
Then it is necessary to question how references operate and particularly what can be understood of so-called ‘popular or globalised’ references.
This then brings up a problem: should we settle for explanations from others?
Can we idly survive by sitting on the sidelines critiquing/appraising/appreciating what we are given to understand?
Here (along with others attempts and references, from Chuck Palahniuk's Diary to fantastically surreal email exchanges with you) I reached an impasse in the text.
In this case writing an explanatory text would make no sense...then, what type of text might work? Clearly out of my depth, a telegraphic like note from Gregory has remained lodged in my mind throughout: 'the idea of ‘salon’ to be kept and used as type of space to re-evaluate things (whether or not they get out and circulate is another issue!), the Salon as a kind of a self-contained system.'
The Clearings
Gazing through the door-viewer of a model home located next to a wedding hall in a basement of a place called the Hyundai Cultural Center, "Eyeball" is having a time-displacement, out-of body experience.
Seeing numerous familiar people all gathered for the opening of an exhibition it is unclear on which side of this door the gazing is occurring.
This may seem obvious since in this peculiar space these categories are blurred, but it is heightened by the fact that the gazing is also being conducted from a position of absence rather than presence. "Eyeball's" experience is, therefore, a combination of premonition, projection, hindsight, figments of imagination and, possibly the most likely source, the simple act of closely looking at photos.
This story starts months before "Eyeball" even came into disembodied consciousness.
To be more precise, this story begins in the week running up to the opening of the Kim Kim Gallery's fourth show Apples vs. Bananas. Although this was a solo show of Chung Seoyoung's work, the experience to be recounted here is about the actual production of this event by the Kim Kim Gallery as a work and a practice in its own right.
Since there are multiple ways that artist initiatives have been exploring the potential of performing the role of galleries, including operating as artworks, this behind-the-scenes moment focuses on the type of considerations and arrangements that characterise how this initiative extends these projects beyond the mere execution of an exhibition.
With the Kim Kim Gallery Gregory Maas and Nayoungim take apart the functional structures of the art world to create spaces for the reinvention of how these communities function by mimicking them parasitically and subverting them simultaneously.
Employing humour and irony in the production of the paraphernalia these activities demand, this project does not however remain at the level of the mere elaborate ruse. Instead, through dogged determination and work, the artists are able to summon a vast network of co-participants to enact each experiment. Brought together on such an occasion, there is an awareness of the roles wittingly and unwittingly played in these circumstances that contributes to the actual experience of such an exhibition.
This can occur at different moments, when functioning as a potential patron, receptionist, opening guest or in some cases as someone given the privilege of being invited to share in discussing how things might come together within the available space and within the given circumstances.
It is this witnessing of a stoic generosity and patience (later extended to the drafting of this text) that allows this text to have attempted to address, in absence, these two complementary yet distinct practices and propose that both suggest the creation of a clearing, a temporary reconfigurable world within realms of complexities, that exists as an ambiguous result.
These worlds created by the practice of Gregory Maas and Nayoungim result from the convergence of intentionalities and serendipities, realised plans and a productive 'letting happen.'
By nature of embodying these convergences in order to come into being, these worlds can be experienced as excluding and opaque...until, perhaps, we take the opportunity to acknowledge what resources we deploy when negotiating the experience of engaging with what is foreign.
Then, whether witnessing one of the Kim Kim Gallery's productions or engaging with an installation by Gregory Maas and Nayoungim, we recognise the true generosity inherent to being invited in without compromise or easy reassurances.
땅 위에
이 글은 원래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의 작품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 대신 이 글은 자체의 욕구들을 발전시켰고, 그래서 지금 다음의 짧은 문장을 필두로 약간의 선문답 같은 대화를 시작하려 한다.
“여기에 소요된 시간에 대해서는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정해진 시간 내에 무언가를 내놓지 못한 실패, 심지어 약속된 행위의 잠재적 불이행에 대한 사과처럼 보이는 이 진술은 불특정 독자, 곧 실제일 수도 순전히 허구일 수도 있는 어떤 사람을 겨냥한다.
그리고 별도의 사전事前 설명이 없다면, 이것은 달라질 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다음과 같은 질문은 던져볼 수 있다. “방금 말한 그 ‘실패’가 이 글과 관계된 것이라면, 그 같은 문장은 무엇을 함축할 수 있겠는가?
그 변명 불가한 지연遲延 이면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 수 있는가?”
밑도 끝도 없이 베일에 싸인 이 서두는 교묘한 시간 끌기 메커니즘에 대해 말하고 있다.
지연을 궁극적으로는 저항으로서, 곧 전문가적 또는 내부적 지식이 어떤 것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철저하고 심층적인 설명의 능력을 제공한다는 전제에 대한 저항으로서 포용하려는 시도에 대해 말하려는 것이다.
비록 이렇게 변명조의 성향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그것은 바로 이 저항을 지지하고, 투쟁의 연대기를 제안하며, 사적인 농담들을 보존하고, ‘두 발을 땅 위에 단단히 딛고’ 쉬운 익숙함이 주는 편안함에 반기를 들고자 한다.
불투명성에 관한 이런 식의 유별난 집착은 상대의 접근을 배타적으로 거부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가 어떤 기회를 누리길 바라는 초대이다.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의 작품을 직접 대면함으로써 자신의 힘으로 단단히 서는 힘을 얻으라는 초대이다.
그들의 설치작품, 복합적인 참조대상을 가진 오브제들의 집적은 물질성, 시각적인 기억, 테크닉, 번역 등의 세계를 열어젖힌다.
이것을 논리 정연한 텍스트로 전달한다고 생각하니, 벌써 구속 받는 느낌이 든다.
전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아직 그것들에 채 익숙해지지도 못한 상태에서 이해해야 하는, 하지만 그러면서도 그 요소들이 함께 절합되면 무엇이 될지는 여전히 아무런 결론도 내리지 못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처리하는 경험과 정반대되는 것이다. 사전을 가지고 있되 그 안에서 단어가 아닌 정의들을 찾아보고 싶어지는, 이런 의미의 미끄러짐 상태는 상대가 불확실성으로부터 무언가를 구축하고 외삽하는 도전을 너끈히 치러낼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수개월에 걸쳐 짬짬이 대화가 오갔고 지리적인 거리, 커뮤니케이션의 간극을 메우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그 거리와 간극은 수많은 우회, 분열, 대안적 관점들을 낳았고, 그것들은 다시 그 풍성함과 개방성 속에서 우리를 정 반대편에 데려다 주기도 했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 반대편에서 우리는 또 다른 경험의 차원으로 이어지는 아주 작은, 보일 듯 말 듯한 문을 발견하기도 했다. 그 간헐적인 대화의 조각들은 나중에 ‘돌출한 안구’가 제 이해력 바로 너머에서 나타나는 가공할 우주를 들여다본 뒤 알게 되는 것보다 선행하고 있다.
외삽된 불확실성—개념적으로 추방된 것들을 위한 살롱?
“그레고리와 나영씨, 이 글 때문에 낑낑대고 있습니다. 전체 분량은 자꾸 줄어들고 나는 거듭해서 미끄러지는군요.
찬찬히 탐독하고 싶었던 참조대상들에서 확실한 논거를 찾는 것도 힘들지 싶어요. 필립 딕Philip K. Dick의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의 꿈을 꾸는가? Do Androids Dream of Electronic Sheep? "를 읽으면서 “키플Kipple” 개념, 그리고 어떤 사물이든 무시하면 무의미해지는 풍경들에 대한 몇몇 묘사들을 살펴보면 어떨까 했었어요.
인용구들을 모아보니 무언가 나올 것 같았거든요.
내 아이디어는 사물들이 어떠하며,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에 의문을 제기하는 장소의 유형들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었어요.
어쩌면 이것은 두 분의 설치작업뿐 아니라, 어떻게 킴킴 갤러리가 활동할 수 있는 새로운 맥락을 계속 찾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에도 적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 이어서 씁니다.
딕이 쓴 책에 나온 또 다른 구절 때문에 아서 단토Arthur Danto의 "일상적인 것의 변용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을 찾아보게 되었어요. 하나의 사물이 어떻게 예술작품으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못하는가를 다룬 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책의 제목을 비롯하여 단토가 찾아낸 일화나 그에 얽힌 사연 등은 이미 내 머릿속에 들어있던 것들이었어요.
그에 비해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의 꿈을 꾸는가? "에서 새로 찾아낸 구절 은 인간뿐 아니라 기억이나 지각을 하지 못한 사물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두 분의 설치작업을 관람자인 우리가 이해하게 되는 어떤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재정의되어야 할 재료, 테크닉, 참조들의 상이한 집적을 위한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그레고리 씨와 대화를 나누던 중에 “개념적으로 추방된 것들의 재활을 위한 살롱 Salon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conceptually displaced”이라는 아이디어가 나왔습니다.
단토의 제목을 변주한 이 표현은 개념이나 사물이 맥락을 달리하면 자기동일적인 어떤 것을 의미하는 능력을 상실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 그렇다면 죽은 사물들이 아무것도 지각하지 못하는 이 장소, 회복기의 개념들을 위한 이 ‘살롱’이란 도대체 어떤 것일 수 있을까요?
이질적인 원천에서 나와 하나로 뭉쳐진 개념 또는 추방되거나 오해된 개념은 ‘재활’을 위해 어디로 가야 할까요?
만약 그 개념들의 범주가 모두 뒤죽박죽 상태가 되어버렸다면, 그것들의 ‘재활’은 과연 어떤 결과를 함축할까요? 마지막으로, 만약 개념도, 사물도 스스로를 다시 생각할 필요가 없다면, ‘다시 생각함’이라는 그 과제를 그것들과 접촉하게 된 존재에게 반드시 일임해야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다면 우리는 참조대상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특히 소위 ‘대중적인 또는 세계화된’ 참조대상을 무엇으로 이해할 수 있을지에 대해 질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다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설명에 만족해야 하는가?
우리가 이해하도록 주어진 것을 비평/평가/판단하는 데 있어 방관자를 자처하면서 게으르게 생존해도 무방한가?”
이 부분(척 팔라닉Chuck Palahniuk 의 "다이어리Diary"에서부터 두 분과 주고받은 환상적으로 초현실적인 이메일 대화에 이르는 그 외의 수많은 시도들, 참조대상들도 포함하여)에서 나는 글쓰기의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이번에는 해명의 글을 쓰는 것으로도 안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 어떤 유형의 글이 알맞을까요?
내 마음 깊은 곳에는 그레고리 씨가 보낸 전보처럼 짤막한 문구 하나가 선명히 각인되어 있습니다.
내내 귓가를 떠나지 않는군요. “사물을 재평가하는 공간의 일종으로 유지되고 사용되는 ‘살롱’ (그 사물들이 바깥으로 나가 돌아다니는가는 다른 문제!), 일종의 자기충족적 체계로서의 살롱이라는 아이디어.”
개간지들
현대문화센터 지하의 웨딩홀 지하에 모델하우스 두 채가 세워져 있다.
모델하우스의 도어뷰를 통해 무언가를 응시 중인 “안구Eyeball”는 지금 시간치환과 신체이탈의 경험을 하고 있다.
전시 오프닝을 위해 그곳에 군집한 익숙한 수많은 얼굴들을 보고 있지만, 이 문의 어느 쪽에서 그 응시가 시작되는지는 불분명하다.
이런 독특한 공간에서는 그런 범주들이 흐릿해진다는 점에서 그 불분명함은 너무도 당연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응시가 존재보다는 부재의 위치에서 수행된다는 사실 때문에 더 강조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안구”의 경험은 전조premonition, 투사, 가늠자 hindsight, 상상의 산물, 그리고 가장 그럴싸한 요소로서, ‘사진 자세히 보기’라는 단순 행위 등을 버무린 조합이다.
이야기는 심지어 “안구”가 탈신체화된 의식 속에 들어오기 몇 달 전부터 시작된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킴킴 갤러리의 네 번째 전시 “사과 vs. 바나나 Apples vs. Bananas”의 오프닝이 있던 주였다.
비록 이것은 정서영의 개인전이었지만, 내가 설명하려는 경험은 킴킴 갤러리가 스스로 권한 안에서 행하는 작업이자 실천으로서 이 전시를 실제로 어떻게 생산했는가 하는 것과 관계된다. 예술가가 주도하여 갤러리의 역할수행 가능성을 탐구해온 방식에는 가령, 갤러리를 작품으로 작동하게 하는 등의 여러 사례가 있으므로, 이 ‘뒷이야기’는 어떻게 이런 프로젝트들이 단순 전시 이상으로 확장되는가를 특징적으로 보여줄 만한 사고와 작업과정에 초점을 둔다.
킴킴 갤러리와 더불어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는 미술계의 기능적 구조들을 따로따로 구별하고 그 소집단들이 서로를 기생적으로 모방하는 동시에 전복시키면서 기능하는 방식을 재창조하기 위한 공간을 만든다.
유머와 아이러니를 십분 활용하며 이런 활동에 필요한 장치를 생산하되, 그들은 결코 단순히 정교한 책략의 수준에 머물지 않는다.
대신, 그들에게는 확고한 결단력과 추진력을 발휘하여 각각의 실험을 수행할 공동 참가자들의 어마어마한 네트워크를 소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렇게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이게 되자, 그들 사이에는 이런 조건에서 부지불식간에 해야 할 역할들에 대한 자각이 생겨났고, 이것은 이 독특한 전시의 실제 경험을 이루는 일부가 되었다.
매번 다른 순간마다 이 일은 발생할 수 있다.
사람들은 때로는 잠재적 후원자, 리셉션니스트, 오프닝 게스트 등으로 기능하고, 때로는 주어진 공간과 주어진 상황에서 이 일들이 어떻게 꾸려졌는가를 토론하는 자리를 초대받는 특권을 누리기도 한다.
이 글이 상호보완적이면서 별개인 이 두 가지 실천들을 그 부재중에서나마 소개하려 시도한 것, 그리고 그것들이 복잡성의 영역 안에 어떤 개간지를, 한시적이고 재구성 가능한 세계, 모호한 결과 그 자체로 존재하는 하나의 세계를 구축하고자 제안한다고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 철두철미한 관대함과 인내(나중에 이 글의 초고로까지 발전되는)를 목격했기 때문이다.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의 실천으로 창조된 이 세계들은 지향성과 행운, 실현된 계획과 생산적인 ‘일어나게 둠 letting happen’이 서로 수렴한 결과이다.
이 수렴들이 실존할 수 있도록 구현하다 보면, 그로 인해 창조된 세계들은 배타적이고 불투명한 것으로 경험될 수 있다.
그러나 언젠가는, 우리가 낯선 것에 연루되려는 경험을 교섭하는 순간 어떤 자원들을 동원하는가를 인정하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때가 되면, 킴킴 갤러리가 생산한 것 가운데 하나를 목격했든,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의 설치작품에 연루되어 있든, 타협이나 값싼 위안이 없는 초대받음 속에 내포된 진정한 관대함을 우리는 깨닫게 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