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믹서 & 쥬서'

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문예진흥원    미술관서

“어느날 작가들이 가장무도회를 열기로 했다. 이불은 무도회복장으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으며 버스와 지하철을 번갈아 타고 약속장소에 도착했다. 그런데 가장무도회 복장을 하고 온 사람은 이불 혼자였다.”

“평소 조용조용 공부 잘한 김범이 고등학교에 다닐 때 집에서 병아리를 키웠다. 공부하다 잘 안되면 자다가도 일어나서 마당에 풀어놓고 활로 쏘기 위해서였다.”

김나영(34)의 ‘전설’이라는 작품속에 등장하는 일화들이다. ‘전설’속에는 이밖에 유재학 김순기 등 여러명의 인물이 등장해 다소 엉뚱한 에피소드들을 남긴다. 김나영은 이같은 일화들 묶음 뒤에 “이같은 내용은 허구”라고 적었다. 그렇다면 김나영의 작품은 ‘소설’일까. 아니다. 이같은 내용을 담은 책자, 탁상과 의자, 관객들의 책읽기가 한데 어울리도록 한 ‘설치미술’이다. 등장인물은 모두 미술인이다. 김나영은 미술인의 취향과 성격에 대한 상상을 유도하는 내용을 담은 소책자를 미술관에 전시하는 형태를 취했다.

이 작품은 24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계속되는 ‘99 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에 전시되고 있다.

참가작가는 김나영(34) 김수진(28) 김현수(30) 박성환(27) 배영환(33) 이원희(24) 이진경(33) 임민욱(32) 임정규(25) 정수진(31) 정연두(31) 정혜승(27) 함경아(34) 함양아(32) 함진(22) 등 15명.

20, 30대 젊은 작가들의 새로운 미술감각을 살펴보자는 취지로 기획된 이번 전시에는 김나영의 작품처럼 ‘글’또는 ‘문장’을 이용한 미술작품이 많다. 그러나 문자를 소재로 한 미술작품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같은 점에서 기존 미술의 흐름을 뒤엎는 ‘파격’은 없었다.

이밖에 초현실적인 그림을 그린 정수진, 입을 닮은 형상위에 피를 흘리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작품을 내놓은 함양아, 안방처럼 만든 공간에 작은 추상조각작품을 가득 채운 함진 등이 눈길을 끈다. 

동아일보 이원홍기자 1999-08-16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19990816/7462425/1

 `99 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조선일보 진성호기자 1999.08.04

한국의 젊은 작가들은 어떤 예술세계를 꿈꾸고 있을까문예진흥원 미술회관(02-760-4602) 13일부터 24일까지 개최하는 '99 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차세대 젊은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눈에 보여준다.

다양한 작가들의 사고와 감성을 있는 그대로 섞어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믹서 & 쥬서' 부제를 가진  전시에는 모두 15명의 신진작가들이 참여한다김나영(34) 김수진(28) 김현수(30) 박성환(27) 배영환(33) 이원희(24) 이진경(33) 임민욱(32) 임정규(25) 정수진(31) 정연두(31) 공장MAFI(공장장 정혜승, 31) 함경아(34) 함양아(32) 함진(22) 씨다.


환각상태의 시야를 묘사한 듯한 몽환적 분위기의 미술세계를 추구해온 정수진은 사람과 괴물들이 뒤섞이고  없는 기호들이 부적처럼 화면위를 장식한 독특한 작품을 선보인다아크릴과 싸인펜으로 여러 종류의 자동차와 비약이 심한 만화를 출품한 임정규맬론 형태 인형을 통해 인간에 대한 공포와 연민을 표현하는 배영환의 비디오 프로젝션 작업도 전시된다평소 알고 지내던 작가들의 일화로 구성한 '전설'이란 책을 직접 디자인-제작해 보여주는 김나영자석장치가  신문 위의 철가루를 손으로 문질러 임의의 문자나 이미지가 드러나도록  김수진의 실험정신도 눈길을 끈다.

문예진흥원 큐레이터 김혜경 씨는 "기존 30∼40 작가 중심인선에서 올해는 20∼30 작가로  연령대를 낮춤으로써새로운 얼굴을 발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기존 미술 양식이나 사고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사고와 신선한 감각을 맛볼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1999/08/04/1999080470314.html



`99 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한국미술의 앞날을 이끌어갈 젊은 작가들의 미술잔치가 펼쳐진다.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주최하는 ‘99 한국현대미술신세대흐름전’.13∼24일 문예진흥원 미술회관(02-760-4602)에서 열리는 이 행사는 올해 8회째로 주제는 ‘믹서 & 쥬서’로 정했다.새내기 작가들의 파릇한 사고와 감성을 짜내고 또 있는 그대로 뒤섞어 생경함 속에서 미래 예술의 비전을 찾는다는 의미에서다.

참여 작가는 김나영 정연두 함진 등 15명이다.

이번 전시의 생명은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점.그렇지만 동시대를 호흡하는작가로서 공통점이 전혀 없을 수 없다.일상과 예술의 경계지우기, 문자의 이미지화, 규격화된 전시공간의 거부, 개인적 경험의 주관적 형식화 등이 이들작업의 공분모다.
예술과 삶의 경계를 해체하고 있는 작품으로 정연두의 사진작업을 꼽을 수있다.그는 17세기 네덜란드 뱃사람의 옷을 입은 백인 무용수와 중국의 쿵푸복장을 한 흑인 무용수가 연출하는 다양한 포즈들을 사진에 담았다.동서양의상의 불협화음,흑인과 쿵푸의 만남이라니.역사적 맥락과 문화적 알레고리를 무시한 배합으로 빚어지는 시각적 혼란은 문화적 동질성 혹은 정체성의논리에 갇혀 있는 우리의 화석화된 의식에 신선한 자극을 준다.일상에 잠겨있는 이미지와 기호들을 건져올리는 그의 작업은 세상을 새롭게 읽는 유력한 텍스트다.
또 김나영은 평소 알고 지내던 작가들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전설’이란 제목의 팸플릿을 만들어 전시한다. 한국현매미술사의 한 단면을 개인적 경험을 통해 들여다 볼 수 있는 이 작품은 미술에 대한 미술, 곧 메타미술의 구조를띤다.
이들 젊은 작가들이 꾸미는 전시는 기존의 미술양식이나 사고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사고와 싱싱한 감각 그리고 예술개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실험의 장으로 기대를 모은다.

서울신문 김종면기자 
1999-08-07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19990807013002


차세대 작가 발굴 위한 '99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개최

1999.08.13 매일경제 황국성기자 
한국 미술의 차세대를 이끌어갈 젊은 작가를 발굴·지원하기 위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지난 14 서울 동숭동 한국문화예술진흥원(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개막해 24일까지 계속되는 `99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올해로 여덟번째를 맞는 `신세대 흐름전' 종전 30, 40 중심에서 20, 30 위주로 참여 작가들의 연령층을 낮췄다.

참여 작가는 김나영 박성환 이원희 임정규 정수진 이진경 함경아 15. 주제도 `믹서 & 쥬서' 잡았다. 다양한 작가들의 사고와 감성을 있는 그대로 섞는다는 뜻과 새내기 작가들의 싱싱함과 맛스러움을 보여준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장르와 재료에서 여러 방식을 택한 작품에선 다양성과 개성이 그대로느껴진다. 함양아는 신체적 고통을 주제로한 비디오 작품을 내놓았는데 감감적이고 적절한 음향효과를 통해 무의식 깊숙히 자리하고 있는 인간의 공포와 신체, 고통의 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이원희는 일상의 이미지 가운데서 여성주의적 관점을 이끌어낼 있는 성적 모티브를 주관적인 앵글로 잡은 작품을 내놓았고 박성환은 거리의 간판이나 상표를 이용해 본래 목적이나 기능을 상실한 이미지를보여주고 있다.

김혜경 미술회관 큐레이터는 "작가간 공통점을 부각시키기 보다는 다양성을 더욱 확대하고 섞어 그들의 부조화 속에서 한국 미술의 미래 비전을 찾아보기 위해 전시회를 기획했다" 말한다.

18 오후 3시부터는 `21세기 미술의 동향과 전망' 주제로 세미나를 연다.


https://www.mk.co.kr/news/home/view/1999/08/69514/


마지막과 새로움, 그리고 내용과 형식 
어찌되었건 세기말이고 새천년이란다. 끄트머리라고 무기력하게 처져있기보다는 미래를 바라보며 도전하는 것이 젊은 작가들에게 있어 더 즐거운 일일 것이다. 과거 90년대 초반까지의 미술에서의 새로움은 80년대 또는 그 이전의 미술/문화로부터 대립되며 그 힘을 키워왔다. 하지만 1999년 현재의 새로움은 전지구 또는 전인류의 변화로부터 출발한다. 이제 굳이 과거 미술처럼 서로의 영역싸움 때문에 힘을 소진시킬 필요는 없다. 기왕에 있어왔던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의 '한국현대미술 신세대의 흐름전'이 올해에는 전시기획자 김혜경씨에 의해 '믹서 & 쥬서'라는 테마로 꾸려졌다. 시간에서건 장소에서건 그 차이가 엄연히 존재하는 각기 다른 문화들이 서로 충돌하고 있다는 것이 확연하게 느껴지는 작품들이 큐레이팅되었다. 물론 기획자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물리적 충돌 뿐만 아니라 화학적 반응까지 포함한다. 그래서인지 디스플레이된 작품들을 살펴보면 무척 밝은 사고로 아주 쉽게 문화충돌을 즐기는 작품이 있었는가 하면 반면에 충돌이 결과한 새로운 소외의 문제를 무겁게 다루는 작품들도 있었다. 아마도 무거운 것은 아이덴티티의 문제를 가벼운 것은 새로움의 유희 또는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 같다. 이번 전시에서도 영상기기 및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시지각 미술형식들이 젊은 작가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이 사용하는 기기나 기술은 하이 테크놀러지가 결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전파사'보다는 더 전문적인 곳에서 해결했어야 할 문제들을 '문방구'나 '슈퍼마켓' 등에서 절충해버린 듯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었다. 아마도 여러 환경의 제약으로 한국에서 영상/설치작업을 하고 있는 작가들 대부분이 이런 함정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혹자들은 한국의 영상/설치미술을 '써브아트' 또는 '양아치 성향의 조금 세련된 정크아트'로 구분하기도 한다.  어차피 미술작품이라는 것은 형식으로 결과된다. 그렇다면 형식에서 보여지는 취약한 점들은 미리 의도되어진 경우라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못할 때에는 형식의 어수룩함으로 인해 그 내용마저도 심하게 왜곡되기 십상이다. 특히 영상/설치기기로 새로움을 이야기하려는 젊은 작가들의 시지각 미술형식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의 '버전업'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 또한 무시 할 수 없는 일임에 틀림이 없다. 오히려 요즘 같은 시기에는 숙련된 솜씨의 유화보다 더 낡아빠진 영상/설치작업들이 있을 수 있다. 미술은 결국 형식이라지만 그것이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내용담지체적 형식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최금수 (가나아트 1999년 가을호 전시리뷰 원고)
https://neolook.com/archives/19990901a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