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_백만에 하나는 아니지만 십만에 하나 정도로는 운이 좋은 듀오 Nayoungim and Gregory Maass: A duo not as lucky as one in a million, but as lucky as one in a hundred thousand


FACE zine


Nayoungim and Gregory Maass: A duo not as lucky as one in a million, but as lucky as one in a hundred thousand

 

Juhee Kim (Interview Zine Face)

Kim Kim Gallery (Nayoungim & Gregory Maass)


A partially revised version of an interview at Artclub 1563 in Seoul during preparation for Nayoungim and Gregory Maass’ solo exhibition There is no beer in Hawaii for Interview Zine Face Vol.1 - City & Space - Autume 2012.

한국어로 인터뷰 진행. 그레고리 마스는 김나영이 통역


Juhee Kim: How should we look at Kim Kim Gallery? Is it a gallery as a place or an artwork?

KKG: We think of it as an artwork. We do not confine ourselves to the fixed concept of the gallery. We pursue independence and efficiency through our irregular or crazy marketing strategy. The job of Kim Kim gallery covers planning and designing exhibitions, selling artworks and publishing art books. We think about how to take part in the new ecosystem and what the future of art will look like.

 

JH: You are artists, but at the same time, as gallerists you choose artists for your gallery. What are your criteria for choosing artists?

KKG: We look at their individuality, independence and originality. We try to provide more power and autonomy to artists. We want artists, artworks and exhibitions to fit organically with each other that artists can break free from arbitrary production and exhibition and gain new powers in various areas technologically and methodologically.

 

JH: Why do you hold exhibitions at different places?

KKG: Basically, we travel a lot. The thing is, we don’t want to do things with fixed plans. What we are good at is to respond to a given situation agilely and practically. We seek for ways to creatively respond to changing relationships of our time that give birth to new cognitive processes of appreciating art. Kim Kim Gallery aims at providing a social place and constructive mediation.

 

JH: Is it because of restraints such as a limited budget or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a fixed place? Or is it a conscious effort driven by a strategy? If neither of them is the case, is it somewhere between the two?

KKG: We are in between. I like the word strategy, but I want strategies that are not conservative.

 

JH: I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find places that match the works. Do you have a secret for choosing the right place? When looking for places, where do you focus your attention? 

KKG: We use all available measures to find the right place. Usually, there are two to three options. But not more than that because of the limited budget and so on. All depend on how we do it.

Gregory thinks we’ve been lucky. Of course, he has a point, but I think our job is to make us look lucky. We find places where artworks can function idealistically and every element, including the works and the places, seems to be in the right context. To define the job of Kim Kim gallery, we cover all the works of guards, interior designers, carpenters, art historians, graphic designers, sanitation workers, bookkeepers, photographers, salespeople –sometimes traveling salespeople – and assistants. Artists cannot develop without places provided for them and places that the gallery and artists realize together often become the center of our relationship.

 

JH: I’ve been living in Seoul for quite a long time, but I don’t know every corner of it. Isn’t it difficult to look for new places?

KKG: Seoul is where I was born and raised, I know many people here. It is the place that allows and practical approaches and a high level of mobility in planning. It is an interesting place that makes us realize projects under different conditions.

 

JH: The exhibition of Nakhee and Nakyoung Sung in Gangnam was held a floor above a restaurant and Seoyoung Chung’s solo show last year took place in old model homes for an apartment complex. Those were all very unique places. How did you get to those places?

KKG: Seoyoung Chung is around our age. The place that went through the 80s matches well with her. These model homes were abandoned for 17 years. Her work confuse people whether it is an artwork or reality and model home is fake.

For Nakhee and Nakyoung Sung, we focused on the fact they are sisters. Each of them lives in a complex world of their own art where no one can intervene. It’s like an oxymoron. Gangnam went through quite dynamic changes considering its short history. The building next to Dosan Park we used as a venue for the sisters also has a short history but served different purposes. For example, tone point, it was a clothing store and at another point, it was a prayer house. In the exhibition held during the renovation for the change of use, the two very different but equal worlds of art clash and resonate with each other.

 

JH: You do your own artworks as an artist, but at the same time, you also work as a gallerist and curator. Do you draw clear lines between different jobs?

KKG: Sometimes, we include our artworks in the exhibitions we curate, but it is only when these are in line with the context of the exhibitions. We are keeping the lines of between different jobs clear. The art world has grown much bigger and more complex compared to the past when everyone could clearly define their roles.

 

JH: When you plan exhibitions that will be held in Seoul, do you have people of Seoul in your mind as your potential audience?

KKG: Our exhibitions challenge the popular taste of our time and can embrace the audience who finds it hard to become a part of commercialized pop culture. As gallerists, we are interested more in how to represent sophisticated highbrow art than in the economic aspect of art. We think our role is to defend artists and to put greater value on artworks than commercializing them. We try to come up with new ways of producing, distributing and consuming art. 

 

JH: Many of the titles of your exhibitions are very interesting, including the title of a song and an economic theory. How did you get to the title for this exhibition, There is no beer in Hawaii?

KKG: We borrow funny titles from many different source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is from a German pop song. The lyric is about a couple who can’t get married because they want to go to Hawaii for their honeymoon but they heard that there is no beer in Hawaii! Most of the times, Gregory who is well verse in literature puts titles on exhibitions. We put funny titles only for the sake of fun. Because we work as a duo, it is good for us to put impactful titles that can grab our attentions until our work ends.

 

JH: As I know, you and Gregory have been working together since 2004. What are the merits and demerits of working as a duo? I guess there are times when you want to go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gap starts to grow. What do you think?

KKG: We do discusses, but very quickly. Our work often faces limitations. So, even if one wants to go this way, and the other wants to go that way, we can only go this way because of the limitations. In fact, the kind of situation you asked does not happen so often.

 

JY: At first glance, if you live together and work together, things may get more complex, but it seems like it’s not the case of you two.

KKG: I guess you’re talking about problems duo artists faces. We profit well from our symbiotic relationship. We know that we gain more when we work together than when we do alone. Gregory says we are not as lucky as one in a million, but as lucky as one in a hundred thousand.

 

JH: Would you recommend this way as working to others?

KKG: Gregory says it won’t be possible for others even if we recommend it. There has to be luck, you have to know how to adapt... But there is fun coming from working together. Often, we end up with fun conclusions. As a duo, we can draw different conclusions somehow. Kim Kim Gallery runs many different collaboration projects and they are constructive and complex.

 

JH: What are your current interests?

KKG: Gregory thinks it’s his weakness, but he wants to surprise others. And individuality. Here, it means freedom.

 

JH: Are you satisfied with your present life?

KKG: I guess so. We can express ourselves and able to do fun things with fun people. We are a kind of flaneurs who like to stroll around. Rather than quietly observing the world, we try things out and experience the world.

 

JH: I guess many people would envy you as you do what you want.

KKG: What’s the problem? Gregory says everyone has similar problems. Of course, there are special cases like experiencing war, but except that, most people have similar problems. It’s not that we have more fun because we are in a special condition. Whatever you do, if you do not put all your efforts into it, it’s impossible.

 

JH: Do you mean that if you want something, you should throw yourself into it?

KKG: It’s good to throw yourself into something, but sustaining things is not an easy task. You have to look for ways to sustain what you want. The reality is harsh, but isn’t it only in reality you can have real fun?



FACE는

동시대를 살고 있는 멋진 사람들을 찾아 나섭니다. 패션, 문학, 음악, 영화,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자 몫의 인생을 치열하게 살고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더 많은 사람에게 전하려 합니다. 그들은 인터뷰를 통해 꾸밈 없이, 있는 그대로의 얼굴을 드러냅니다. FACE는 그 낯설기도 하고 익숙하기도 한, 뜨겁기도 하고 차갑기도 한, 우리와 닮아있기도 하고 다르기도 한 아름다운 얼굴을 차곡차곡 모아 이 시대의 가장 젊고 빛나는 조각을 포착하려 합니다. 그 얼굴들을 가만히 바라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간과 장소가 얼마나 힘차고 재미있는 곳인지 새삼 깨닫게 됩니다.
FACE는 매 호마다 다른 주제, 얼굴, 활자체를 선보이려 합니다. 따라서 독자들은 잡지를 읽는 것만으로 매 계절마다 다른 주제, 얼굴, 활자체의 아카이브를 구축하게 됩니다. FACE라는 이름에 걸맞게, 인터뷰이의 있는 그대로의 얼굴들을 담았습니다. 마치 오랜만에 들춰 본 졸업 앨범에서 볼 법한 증명사진처럼 꾸밈 없는 사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FACE는 매호마다 주제에 어울리는 각각의 활자체를 지정하여 사용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잡지가 발간되어 쌓일수록 인터뷰이의 얼굴과 더불어 다양한 표정의 활자체 역시 아카이빙될 것입니다.

FACE 1호에서는

시인/건축가 함성호

가관리인 박길종

뮤지션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디자인연구자 박해천
리슨투더시티 박은선
소설가 배명훈
아티스트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
배우 박희본
자립음악가 한받
https://www.tumblbug.com/facezine01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
백만에 하나는 아니지만 십만에 하나 정도로는 운이 좋은 듀오.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는 공동작업을 하는 아티스트 듀오이기도 하고,
함께 킴킴 갤러리를 운영하며 다른 작가들의 전시를 기획하기도 한다.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Gregory S. Maass)
2012 «하와이에는 맥주가 없다»
2011 «파워마스터스»
2010 «일찍 일어난 벌레가 새를 잡는다»
킴킴갤러리(Kim Kim Gallery)
2012 성낙영, 성낙희 2인전 «Stuffs!»
2011 정서영 개인전 «사과 vs. 바나나»

킴킴 갤러리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갤러리라는 한 장소인가요, 하나의 작업인가요?
저희는 작가로서 그런 걸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있고요. 킴킴 갤러리 특징은 일정한 공간 없이 프로젝트마다 장소도 찾고 형식도 찾는 거. 저희는 장소가 없는 게 특징이에요.

스스로 작가이기도 하시지만, 갤러리스트로서 다른 작가들을 선택하기도 하시는데, 어떤 기준을 가지고 계세요?
일단은 좋은 작품을 하는 좋은 작가여야 하고요. 우리가 하고자 하는 계획에 부합하는 작가여야겠죠. (그레고리 마스와 불어로 대화 후) 우리가 관심 있는 작가는 독립성(individuality)이 강한 작가.

공간을 바꿔가면서 전시를 하는 이유가 뭔가요?
일단은 저희가 굉장히 많이 움직이는 사람들이고요.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없거나 믿지 않는 것은 확정돼서, 그니까 뭘 정해놓고 그것을 수행하는 거 있잖아요, 그런 걸 우리가 좀 싫어해요. 우리가 잘 하는 거는 주어진 상황에 따라서 빨리 실용적으로 기능하는 거예요. 이런 방법은 그 장점을 살릴 수도 있고 경제적인, 물리적인 여러 가지 문제들을 극소화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랄까 뭐랄까.

재정 문제나 고정된 장소 유지의 어려움 같은 현실적인 이유에서인지, 아니면 의도를 가지고 전략적으로 하시는 것인지? 아니면 그 둘 사이의 어느 지점에 있는 건가요?
그 둘 사이의 어디라고 저는 생각을 하고요. 지금 전략이라고 얘기를 하셨는데, 전략이라는 말이 좋은 거 같아요. 보수적이지 않은 그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게 좋아요.

작품하고 공간하고 어울리는 장소를 찾아내는 게 중요할 거 같은데, 좋은 장소를 찾는 비법이 있으신가요? 작품하고 접합되는 점이 있는 공간을 찾아낼 때 주의 깊게 보는 점이라거나.
일단은 눈을 열어놓고요. 가장 좋은 적합한 데를 찾기 위해서 주변에서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다 동원하죠. 공간을 찾을 때에는 물론 선택의 여지가 있죠. 두세 가지 정도 선택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근데 그 다음에는 별로 여지가 없어요. 큰 돈을 가지고 뭘 만들고 그런 게 아니기 때문에. 이 전시나 이 작가를 위해 좋은 공간인가 이런 문제는 우리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해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그레고리 말로는 이제까지는 운이 좋았다고 하는데, 그 말도 맞는 거 같고요. 운이 좋아 보이게 하는 게 우리 작업인 거 같아요. 작가하고 장소하고 이렇게 딱 잘 맞춰서, 설치하고, 이 맥락 자체를 잘 맞췄다고 보이게 하는 거가 우리의 일이라는 거예요.

서울에 오신 지 얼마나 되셨어요?
일 년 반 정도.

저도 서울에 꽤 오래 살았는데 구석구석까지는 잘 모르거든요. 새로운 장소 찾아 다니기 어렵지는 않으세요?
서울의 장점이라고 하면 친구들이 많고요. 제가 나서 자란 곳이기도 하고. 그래서 별로 그런 큰 문제는 못 느꼈어요. 딱히 서울만이 아니고 다른 나라, 다른 도시에서도 킴킴갤러리를 했는데 별로 큰 문제 없이 했어요. 지금 장소 찾는 문제를 얘기하시는데, 장소 찾는 데 너무 문제가 많이 생기잖아요? 그러면 일하기가 되게 김 빠지고 힘들어져요. 작가로서도 일하고 있으니까 적당하게, 우리가 같이 일하는 작가, 우리, 그리고 여러 가지 여건 이런 것들을 너무 피곤하지 않은 선에서 적정하게 맞추려고 해요.

성낙영, 성낙희 전시는 신사동 음식점 위층에서 열렸고, 작년 정서영 전시 장소는 오래된 아파트 모델하우스였잖아요. 다 특이한 곳들인데, 각각의 장소를 어떻게 선택하게 되셨는지 말씀해주세요.
정서영은 저랑 비슷한 세대에요. 우리가 80년대에 교육 받고 한 작가들인데, 그 장소가 정서영한테 굉장히 잘 맞는 거 같았어요. 그게 17년 동안 잊혀진 공간이래요. 아무도 들어오지 않았던 모델하우스라고 하는데. 정서영 작업에서 이게 작업인지 아닌지, 일상인지 작품인지 이런 게 헷갈리는 부분이 있거든요. 모델하우스라는 건 어차피 가짜잖아요, 그쵸? 21세기 모델하우스가 아니라 17년 전 80년대 모델하우스니까, 이게 굉장히 정서영이랑 잘 맞는다고 생각했고.
성낙영, 성낙희는 둘이 자매라는 점에 주목을 많이 했어요. 장소를 찾은 다음에 알게 된 건데 그 동네 출신이더라고요. 어렸을 때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살았대요. 강남이라는 데가 문화 중심지잖아요. 사대문 안 말고 옮겨진 중심지. 근데 거기가 역사가 얼마 안되다 보니까 굉장히 많이 바뀌어요. 도산공원 옆의 그 건물의 역사 자체는 짧지만 대단해요. 옷집도 했다가 기도원도 했다가 그런 장소였어요. 그 리노베이션 하는 중간에 들어가서 전시를 하고 전시 자체가 없어지는 거였죠.

작가로서 개인 작업을 하시기도 하고, 갤러리스트나 큐레이터로 일하시기도 한데, 각각의 일들이 뚜렷하게 구분이 되시나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우리는 구분을 굉장히 잘한다고 생각해요. 작가로서 전시를 하면 개인적인 여러 가지 동기랄 지 표현방법이랄 지 이런 게 있고, 또 갤러리스트로 일 할 때는 계산서도 만들어야 되고 운송도 해야 되고 그런데, 잘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지금 여기* «하와이에는 맥주가 없다» 전시 준비는 마무리 단계인가요?
, 하고 있는 중입니다.

전시에 대해서 조금 말씀해주실 수 있으세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지금 작업 중이어서 얘기하기 좀 곤란하다는데요? 우리는 사실 이런 질문을 받으면 대답하는 거를 되게 꺼려하는데요. 특히 한국에서 미술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이게 무슨 뜻이냐, 뭐에 대한 것이냐 이런 질문을 많이 하는 거 같아요. 우리는 이런 질문에 절대 대답하면 안 된다는 교육을 세게 받았어요. 그래서 조금 대답하기 어렵다고

킴킴 갤러리가 여는 전시들은 공간이 큰 부분을 차지하잖아요. 여기서 직접 전시를 하실 때에도 신경 쓰이는 부분이 있으셨을 거 같은데 어떠셨어요?
저희가 장소특정적인 작업도 많은데요. 장소 자체에서 영감을 받는 것은 사실인데, 여기는 사실 그런 데는 아니에요. 여기는 서울 미술 씬에서 좀 멀기도 하고요. 장소자체가 지하이기도 하고 바깥을 고려하기 좀 어려운 데잖아요. 그래서 그거하고는 별로 관계가 없는 거 같아요.

서울 전시를 하실 때는 서울 관객들을 염두에 두고 전시를 하시나요?
그 관객 문제도 질문이 많이 나오는데, 아까 말씀 드렸던 거와 같은 예술 해석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관객에 관심이 없어요.

그럼 관객에 따라 작업이 달라지거나 하는 일은 별로 없으신가요?
그게 된다, 안 된다 말하기는 좀 곤란할 거 같아요. 관객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해도 이게 서울인지 어디인지에 따라서 작가로서 받는 영감 자체는 다를 수밖에 없잖아요. 작가로서 관객을 일방적으로 염두에 둔다는 것이 아니라, 이 관계가 되게 상호적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염두에 두든 안 두든 간에 이게 서울이고, 서초동이고 이런 건 어쩔 수 없이 문제가 들어온다고.
제가 생각하기에 그걸 염두에 둔다면 예술작품으로서의 독립성 자체가 애매모호해지지 않을까 싶어요. 제가 관객을 무시한다는 게 아니라, 그거를 그렇게 염두에 많이 두지 않는다는 거죠.

어느 곳에 베이스를 두고 있나 그런 건 별로 의미가 없으신 거예요?
저희 같은 경우에는 거기에 조금 적극적이기도 하고 비적극적이기도 한데요. 서울베이스 파리베이스 이렇게, 거기를 기반으로 해서 거기서 쭉 활동하는 작가들이랑 우리는 좀 달라요. 지금 서울에 있지만 다른 곳에 갈수도 있고. 유동성 자체도 많아지고요. 한 쪽을 기반으로 해서 한 쪽에서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랑은 우리 태도도 좀 다르고, 저 쪽에서 우리를 보는 태도도 달라요. 그걸 무시한다, 관심 없다고 보는 이런 건 좀 아니죠.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예술에서 좋은 게 있다면 그런 거가 안 보일 수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해요. 한 가지 아셔야 하는 거는 한국사람으로서의 김나영과 독일사람으로서의 그레고리 마스가 우리 작업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는 거예요. 그런 정치적인 개념이나 여권이 어느 나라꺼냐 이런 건 의미가 없어요.

그럼 한국과 독일이라는 두 문화권의 혼종도 아닌, 완전히 관련 없는 새로운 작업과 배경이라고 생각해도 되나요?
그렇게는 또 말하기 힘들 거 같아요. 사람에게는 한계가 있으니까. 그러니까 작품 따라서도 조금 다를 거 같아요. 예를 들어 독일에서 저희가 벼룩시장에서 뭘 샀다고 쳐요, 50년대 물건. 요즘 같으면 이케아 같은 게 많으니까 전세계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물건이 있잖아요. 하지만 50년대 그럴 때는 그렇지 않으니까, 50년대 물건을 샀다고 하면 독일적인 감수성이라는 게 더 들어갈 수 있겠죠.
근데 그렇다고 해서 저희가 가서 작업하고 있는 환경이나 문화나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고요. 그게 어쨌든 영향을 미치는 건 사실이지만 작품 따라 그게 어느 정도 영향이 있는지 차이가 있다고 생각을 해요. 다만 작업 안에서 강하고 약하고 그 정도 차이고, 다른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서는 강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전시 이름이 재미 있는 게 많아요, 노래도 있고 경제학 이론도 있고. 이번 «하와이에는 맥주가 없다» 전시 제목은 어떻게 지으신 거예요?
저희가 웃긴 거를 되게 좋아하거든요. 이런 저런 자료에서 제목을 빌려오는 경우가 많아요. 이번 전시 제목도 저희가 지은 게 아니고 기존에 있는걸 가져온 거죠. 독일 가요 제목이에요. 그레고리 마스가 독일 사람이니까, 이게 독일사람이라면 잘 알고 웃음거리가 되는 내용이라서 하게 됐어요.
제목은 그레고리 마스가 많이 지어요. 그레고리 마스는 문학에 되게 관심이 많아요. 문학이나 철학이나 이런 데서 많이 오고요. 또 웃겨서만이 아니고, 우리 둘이서 작업하니까 일이 끝날 때까지 둘의 관심이 지속될 수 있을 정도로 제목을 센 걸로 하는 게 이롭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흩어지는 전술 HIT and RUN» 프로젝트*나 서울역사에 전시됐던 Thats right, Brown!처럼 공간과 연관되는 작업이 많으신데요. 우연인지, 아니면 원래 공간에 관심이 많으셔서 의도적으로 그런 작업들을 선택하신 건지 궁금해요.
둘 다인 거 같고요. 저희가 관심 있고 없고를 떠나서, 요즘 미술하는 사람들의 트렌드이면서 피할 수 없는 주제이기도 하고요. 제 생각에는 지금 작가로서 활동을 한다면 그 문제를 피해가기 어렵지 않나 싶어요. 장소에 관한 문제, 공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역사적인 것을 현대적으로 어떻게 볼 것인가 이런 거.

위의 두 작업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 해주세요.
저희가 서울역사에 가봤더니 다 밤색, 브라운으로 되어있는 거예요. 20년대니까 개화기잖아요. 유럽의 역사에 있는 다이닝룸처럼 그런 걸 꾸민 거예요. 일본의 영향을 받았겠죠. 붙박이장 자체가 있는데 웃기게 밤색으로만 쫙 되어있는 공간이었거든요. Thats right brown!, 모든 조각을 다 밤색으로 칠해서 선반 위에다가 쭉 올려놓은 그런 작업이었어요.
흩어지는 전술은 서울에서 바깥을 돌아다니면서 하는 전시잖아요. 우리는 사실 작품에서 이것저것 다 다루고 있지만 정치나 사회문제 이런 건 조금 거리가 멀어요. 근데 그 때 밖에 나가서 하다 보니까 아무래도 그런 문제가 걸렸고요. 우리가 한 건 뭐냐면 종로, 을지로에 갔어요. 젊은 사람들 많이 다니는 데 말고 할아버지들 많이 다니는 데, 서울의 옛날 중심지에 가서 그 분들에 대한 작업을 했어요. 바깥에서 뭘 한다는 게 정치적인 게 아무래도 들어갈 수 밖에 없었어요. 그 때, 우리의 제목은 완전중립. 저 같은 경우에는 정치에 관심이 없는 편이고요. 얼마나 정치를 미술로 할 수 있는지 그런 부분에 조금 의문이 있는 건 사실이에요. 그래서 저희의 정치적인 모토는 완전중립. 좀 웃기죠?

완전중립이라는 것도 정치적인 거니까요.
, 뭐 그렇죠.

그럼 정치 말고 다른 거 뭐에 관심 있으세요?
우리는 일단 문화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고요. 그래서 우리 작업을 보면 눈치를 챌 수 있는데 싸구려, 유치한 거부터 고급문화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다양하게 좋아하는 편이에요. 스펙트럼이 넓다고 말할 수 있고요, 경험의 폭이 넓다고도 얘기할 수 있겠죠.

서울로는 왜 오시게 된 거예요?
작업하는 계획이 몇 가지 있어서. 그 당시에는 전시 몇 개하고 올 생각이었는데 지금은 좀 길어졌어요.

서울 오랜만에 오셨을 때 느껴진 변화가 있으셨나요?
서울에서 살진 않지만 왔다 갔다는 많이 하고 있었는데요. 서울이 좀 굉장히 많이 바뀌었다고 생각하는 건 최근 3, 4년인 거 같아요. 일단은 서울이 굉장히 부유해졌다고 느꼈어요. 서울의 경제적 위상 자체가 과거하고는 다른 거 같아요.

경제적인 측면을 제외하고 봤을 때 서울은 어떤 도시인 것 같으세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그레고리는 거의 뉴욕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고 하는데요?

어떤 점에서요?
요즘에는 제가 생각하기에는 서울이 되게 힙한 데가 됐고요, 전세계적으로. 그리고 가능성이 많고.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서울은 서구의 더 먼저 공업화, 상업화된 도시들에 비해서 아직 모자란 것이 많고, 아직까지는 깊이가 있다기보다는 이차원적으로 빨리 하는 편이잖아요. 그레고리 마스는 서울이 굉장히 가능성이 많은 곳이라고 여기는데, 서울이 깊이도 생길 수 있고, 아직까지 없는 것도 많다는 그런 점에서 재미있다고 해요.

공간이나 장소에 예민한 작업들을 해오셨는데 서울에서는 무엇을 더 시도 해보고 싶으세요? 서울에서만 할 수 있는 작업은 무엇이 있을까요?
페스티벌 봄이라고 있잖아요, 거기에 저희 작품이 있어요. 그게 지금 과학자들하고 같이 하고 있는 작업인데 제목이 라면앙상블이에요. 일단 한국어로 하고 있으니까 한국에서만 가능한 작업이고요. 과학자들이랑 같이 하는 건데, 라면의 과학성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라면이 과학적인가 이런 거를 공연으로 만드는 거거든요. 한국 사람이 1년 동안 라면을 80개 소비하는데, 그게 세계 1위래요. 특히 또 한국같이 남성성이 강한 곳은 드물잖아요? 이런저런 주제나 형식이나 그런걸 생각하면 서울이 아니면 좀 어려운 작업이 아닌가 싶어요.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시는 편이신가요? 여러 곳을 옮겨 다니며 살 때 힘든 부분이 집을 구하는 건데, 어떤 장소를 좋아하세요?
집이라고 하기보다는 스튜디오에요. 저희는 스튜디오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그레고리 마스는 최대한 고급이고 조용한 데를 좋아한다고 해요. (웃음) 채광도 잘되고 근사한 장소. 노르웨이에 시골에 있었을 때 제일 좋았어요. 그 모든 게 다 들어있는 데였어요.

도착했을 때 , 집에 왔다!라고 생각되는 장소가 있잖아요. 그런 곳이 있으신가요?
저희는 둘 다 스위스를 좋아하고요. 우리가 가서 집 같이 느낀다기보다 여기가 집이었음 좋겠다는 그런 거예요. 또 저는 피지를 갔는데 한국과 되게 비슷해서 굉장히 집 같은 느낌을 받은 적이 있어요. 열대고, 바닷가죠. 그런데 70년대 한국에서 받았던 고향 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제가 여기저기 다녔는데 그런 느낌을 받은 적이 없었는데, 피지에서 그런 걸 느껴서 조금 신기했어요.

서울이랑 가장 다른 도시가 어디라고 생각하세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서울사람이니까 서울 오면 집 같다, 이런 걸 느낄 수 있으면 쉽게 답할 수 있는데 대답하기 곤란한 게 뭐냐면, 우리는 적응력이 되게 좋은 거예요. 사회적인 문제, 도시 하부구조 이런 걸로 보면 다를 수 있겠지만, 그거하고 상관없이 개인적으로 생각하자면 저희에겐 어느 곳이나 차이가 없어요. 차이를 몰라서가 아니라, 차이 자체가 저희한테는 의미가 없어요.

두 분이 2004년부터 협업을 해오신 걸로 알고 있는데, 같이 작업을 해서 좋은 점과 나쁜 점이 있다면요?
좋은 점은 여기저기 많이 얘기했는데, 안 좋은 점은 처음으로 얘기하는데. 우리가 좀 웃겨요. 근데 사람들은 우리가 웃기다는 것을 잘 눈치를 못 채요. 오해를 많이 받아요. 혼자 웃기면 다른 사람들도 이게 어느 정도 웃긴 거를 받아들일 수 있는데 우리가 둘이 웃겨서 웃긴 게 조금 복잡해지는 거예요. 그래서 사람들이 저희를 웃기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약간 불편해한다고 느낀다는 것을 우리가 느껴요. 어떤 사람을 받아들일 때 편하다 불편하다 뭐 이런 인상이 있잖아요. 근데 우리가 웃긴 거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두 분한테만 재미있는 거라서 그런 거 아닐까요? 지금 사실 두 분 전혀 웃기시지 않거든요.
(옆에 있던 큐레이터 박계연을 바라보며) 그래요? (웃음) 그리고 그레고리 마스는 독일 사람이잖아요. 독일 사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웃기지 않다라는 거 아시죠? 독일 사람들이 문제가 뭐냐면, 자기들이 느끼기엔 굉장히 웃긴데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되게 답답하고, 썰렁하다고 하나? 그렇거든요.
미술세계에서 고민을 많이 하고, 얼마나 진지한지 이런 게 큰 가치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저희 생각에는 미술이란 거 자체가 우스꽝스러운(ridiculous) 그런 거거든요. 뭐 미술을 진지하게 하고 이런 걸 믿지 않아요.

그런 생각이 작품에도 나타날까요?
한 가지 문제는, 웃긴 사람들이 웃긴 작업을 한다고 해서 그 작업을 웃기게 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태도 자체가 굉장히 심각하거든요. 태도가 심각하다 보면, 폭력적(violent)이라고 할까? 작업하는 태도가 사실 그래요. 그래서 저 쪽에서 다른 사람들이 그런 걸 받아들일 때 힘들어하는 거 같아요.
우리 작업하는 태도는 웃긴 거를 만들기 위해 웃기게 하는 게 아니라 진지하게 하는 거예요. 진지함이 지나쳐가지고 폭력적인 데까지 가는 것은 사실이에요. 그게 좀 어긋난다고 할까? 그걸 느낀다면 좀 답답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작업하실 때 두 사람이 가고자 하는 방향이 달라지고, 그 간격이 커질 때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 어떠세요?
저희는 사실 의논을 하긴 하는데요, 그걸 굉장히 빨리 해요. 우리가 작업하는 상황 자체가 한계가 많아요. 전 이 쪽으로 가고 싶고 쟨 저쪽으로 가고 싶어도 상황 자체는 이렇게 할 수밖에 없는 게 대부분이거든요. 그래서 그런 문제는 생각보다 안 생겨요.

언뜻 생각하기엔 같이 살고, 또 작업까지 같이하면 되게 복잡해질 거 같은데 그렇지 않으신가 봐요.
지금 말하는 게 일반적인 아티스트 커플의 문제라고 할 것 같은데, 저희는 그 문제가 간략한 편이라고 생각해요. 그렇다고 우리가 성격이 비슷하고 그런 건 아니고 되게 달라요. 자아도 서로 둘 다 강하고. 배경 자체가 다르잖아요, 문화권도 다르고.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그레고리 마스 얘기로는, 우리가 백만 명에 하나는 아니지만 십만 명에 하나 정도로는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고요. 그런데 우리가 운이 좋은 거 같기도 하지만 또 공생하는 관계? 그거 자체를 잘 누리고 있는 편인 거 같아요. 우리는 서로 각자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아는 편이에요. 그래서 우리 둘이 같이 했을 때는 혼자 했을 때보다 이익이 많다는 거를 아는 편이죠. 공생하는 관계니까.

이런 형태로 작업 하는 걸 다른 사람들한테도 추천하실 수 있으신가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근데 그레고리 마스 말로는 추천한다 한들 가능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대요. 운도 좋아야 하고 적응력도 좋아야 하고, 별로 가능할 거 같지 않대요.
근데 우리 같이 작업해서 재밌는 거는요, 둘이서 의논을 하면 결론이 나잖아요. 우리는 결론이 좀 웃기게 나요. 저는 이런 출신이고 그레고리는 저런 출신이면 뻔하게 나올 수 있는 결론이란 게 사실 있잖아요. 그런데 우리는 굉장히 다른 결론을 이상하게 끌어낼 수 있는 경우에요. 그래서 아까 나왔던 얘긴데, 같이 작업했을 때 서로 자기를 죽이고 이런 것이 아니고 같이 작업했을 때 더 얻는 게 많다고 생각해요.

지금 현재 가장 큰 관심사는 뭐가 있을까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그레고리 마스는 이게 약간 자기 약점이라고 생각하는데, 남을 놀래키고 싶대요. 그거랑 개인성. 개인성이라는 건 여기선 자유를 말하는 거죠.
현재에 만족하시는지 궁금해요.
(그레고리 마스와 대화 후) 인생 자체가 나쁘진 않은데 그거를 유지해나가는 자체도 일단 일이고요. 그니까 자기표현을 할 수 있달 지 이런 건 나쁘진 않은 거 같아요.
그레고리 아버지가 얘기해준 건데, 회사원 출신이니까 우리 인생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대요. 왜냐면 졸업하고 나서 계속 날라리로 지내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은퇴하고 나서 한참 후에 하는 얘기가 니네 인생이 나쁜 거 같지 않다, 위에 한 명씩 밖에 없지 않냐이랬어요. 서로가 상사인 거죠. 저희 나이 때쯤 되면 회사에서 짤리거든요. 근데 짤릴 위험도 없고 괜찮은 거 같다고 얘기했어요.

그렇게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사는 걸 부러워할 사람들도 많을 거 같아요.
(그레고리 마스와 긴 대화 후) 그런 거를 문제라고 생각하는 거를 저희는 믿지 않아요. 그렇게 사는 게 어렵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잘못이라고 생각해요. 지금 저희 둘 다 뭐가 문제야?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러니까 지금 그레고리 말로는 모든 사람들이 가진 문제는 비슷하다는 거예요. 전쟁을 겪는달지 이런 건 특수한 경우지만, 각자가 가진 문제가 다 일반적이라는 거예요. 우리 경우가 더 특수하기 때문에 더 재밌지 않을까, 그런 건 아니라는 거예요. 뭘 하든지 간에 자기 생명 전체를 던져서 하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하고 싶은 게 있으면 그냥 몸을 던져서 하라는 말씀이신가요?
지금 작가로 10년 이렇게 하고 있잖아요. 몸을 던지고 그런 것도 좋지만, 10년을 하는 건 간단한 문제가 아니거든요. 지속할 수 있게 전략이랄 지 그런 걸 다 고려해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죠. 몸을 던지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죠. 한 번 몸을 던지는 것도 있지만, 그 다음에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죠.
지금 시대가 어렵다 이런 얘기를 많이 하는데, 그런 거는 이유가 안 되고요. 현실이라는 거 자체가 어렵지만 그래도 진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건 현실 밖에 없지 않느냐 생각해요.

앞으로의 계획은요?
이런 거 저런 거 있지만, 저희가 제일 실현하고 싶은 건 휴가 가는 거. 가능할지는 모르겠어요.

Interview: Juhee Kim
출처 FACE 1호
저작권 FACE Press

댓글 없음:

댓글 쓰기